지구촌방랑/Mongolia

[5]'흐흐 민지'의 아이들

찰라777 2006. 8. 15. 06:21

 

 

 

▲'흐흐 민지' 즉 몽골반점을 가진 몽골의 아이들. 말을 탄 모습이 우리 아이들과 흡사하다.

 

 

 

"개자식이란 이름도 있어요."


이드레씨에게 울란바토르 시내를 어떻게 돌아보는 것이 가장 좋으냐고 물어 보니 가이드가 딸린 택시를 하나 대절하란다. 시티투어 버스가 있기도 하지만 2시간에 1인당 19달러이고 제대로 돌아보지도 못한단다. 영어가이드가 딸린 택시대절은 30달러인데 하루 종일 가고 싶은 대로 갈 수 있으니 시티투어 버스보다는 훨 낫다는 것. 그래서 우린 택시를 대절하기로 했다.


“히스키라고 해요.”

“만나서 반가워요 히스키. 내 이름은 오케이 초이, 이쪽은 제이 팍.”

“오케이, 제이, 하하 이름이 재미있군요. 반갑습니다.”


히스키라고 자신을 소개한 가이드를 따라 밖으로 나가니 현대 아반테 하얀 중고차가 기다리고 있다. 검은색 긴 티셔츠에 청바지를 입은 히스키는 전형적인 몽골 타입의 아가씨다. 아반테 중고차에 오르니 덜덜거리기는 한데 앞으로 나가기는 한다.


“그런데 히스키의 성은 무어지요?”

“성이요? 우리 몽골인들에겐 성이란 게 없고 이름만 있어요.”

“아하! 성씨가 없다?”

 

 

▲울란바토르 시내 투어를 함께한 가이드 히스키와 운전수 투무르. 몽골인들에겐 성씨가 없다.


몽골인 들에게는 성씨가 없다. 그때그때 아기가 태어날 때 어떤 사건이나 기억될만한 일들을 이름으로 정한다. 칭기즈칸의 본명인 ‘테무진’이라는 이름도 그의 아버지 에수게이가 타타르족과의 전투에서 타타르 족장 테무진의 목을 치고 승리할 때 칭기즈칸이 태어났는데, 그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서 타타르 족장의 이름을 그대로 지어 주었다는 것.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소름이 끼치는 이름이다. 어떻게 목을 친 적장의 이름을 자신의 아들 이름으로 정할 수 있겠는가?


“아이가 태어나면 아버지는 한 달 이내에 아기의 이름을 지어주지요. 아기의 이름은 천차만별인데요, 솔롱고(무지개), 토야(빛), 알탄(금), 체책(꽃) 등 아름다운 이름에서부터 너회자브(개자식), 가하이 자브(돼지자식) 등 듣기가 험한 이름도 있어요.”

“뭣! 개자식이란 이름도?”

“네, 그렇지만 ‘너회자브’란 이름은 ‘개가 구한 사람’이라는 뜻이 있답니다.”

 

 

▲몽골인들은 태아숭배사상을 가질만큼 아이의 출산을 신성하게 다루며, 사람을 매우 귀하게 여긴다.


이런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자식을 오래오래 살게 하기 위해서란다. 몽골인들은 사람이 죽는 것은 귀신이 영혼을 빼앗아가는 것이라고 믿는데, 귀신도 쓸모 있는 사람만 잡아가지 개나 되지 같은 험한 이름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는 것.


몽골인은 사람을 매우 귀하게 여겨 태아숭배사상을 가질 만큼 아이의 출산을 매우 신성하게 다룬다. 몽골의 아이들은 주로 남편의 겔에서 태어나는데, 이는 남의 겔에서 태어나면 그 겔 주인이 자기자식이라고 우길 경우가 생겨 법으로 정했다고 한다. 갓 태어난 아이들의 엉덩이에는 ‘흐흐 민지’, 즉 푸른 몽골 반점이 있다. 이 반점은 우리민족이 갖고 있는 반점과 똑같은 것이다.

 

▲울란바토르 시내를 누비는 한국의 중고차들.  툭하면 고장이 나서 시동이 꺼지곤 한다.


울란바토르 시내를 굴러다니는 자동차는 대부분 우리나라의 중고차나 일본산 중고차다. 신호를 거의 지키지 않고 게다가 운전이 모두 거칠다. 빨강색 티에 반바지를 아무렇게나 걸친 우리의 운전기사 투무루 역시 마치 곡예를 하듯 운전을 한다. 사진을 찍기 위해 앞좌석에 앉은 나는 아찔아찔한 곡예 운전에 오금이 저려와 사진을 찍기는커녕 몸을 움츠리느라 정신이 없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몽골인들의 기질은 한국인과 매우 흡사하다.

생김새는 물론이고 거리의 정서나 생활문화면에서도 전혀 이질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오늘 시내 투어를 함께하는 가이드 히스키나  운전수 투무루도 어쩐지 더욱 친근하게 느껴진다.

 

 

▲몽골인들은 한국인을 매우 좋아한다. '서울의 거리'에 있는 한국음식점 '코리아 하우스'


우리나라를 ‘솔롱고스’ 즉 ‘무지개의 나라’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 그들 또한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퍽 좋은 것 같다. 1990년대 초 수교이후 많은 한국 기업이 몽골에 진출에 있으며, 한국에 체제하는 몽골인 들도 더욱 늘어나고 있다. 울란바토르는 남양주시와 자매결연까지 맺어 다양한 문화교류를 하고 있으며, 시내 중심가에는 ‘서울의 거리Seoul Street’가 있을 정도이다.  서울의 거리엔 한국음식점을 비롯하여 식료품 가게, 약국 등 한국어간판을 쉽게 발견 할 수가 있어 마치 서울의 어느 뒷골목에 온 기분이 들 정도로 전혀 낯설지가 않다.


 

▲천진난만하기 그지 없는 몽골의 아이들

 

 

▲간단사원에서 촛불을 정성스럽게 키며 기도를 하는 몽골인들

 

 

▲사원을 돌며 내세를 기원하는 몽골의 노부부. 그들은 죽음을 단절로 보지 않고 영혼이 다른세계로 이전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