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찰라의세상보기

1년 중 단 하루 지옥문이 열린다는 백중

찰라777 2012. 9. 1. 10:02

 

 

백중의 유래와 효(孝)

 

 

 

 

-부처님과 스님과 조상과 부모님께 공양을 올리는 날

-부모님께 효도를 하는 것은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것과 같아...

 

 

오늘은 음력 7월 15일 백중날이다. 하늘을 보니 보름들이 휘영청 떠 있다. 어쩐지 돌아가신 부모님을 생각케 하는 달이다. 향 한대 피우고 부모님을 생각하며 금강경을 독송해본다. 달빛 속에서 부모님이 금강경을 들으시고 웃고 계시는 것 같기도 하다.

  

백중날 왜 조상님을 천도하기 위해 지극정성으로 기도를 올리는지 자세히 살펴보고 그 의의를 충분히 이해를 한다면 기도가 한층 더 잘 될 것이다.

 

 

백중날은 오늘날 젊은이들이 모르는 우리 조상들의 중요한 명절이다. 이 시절이면 온갖 것이 풍부해서 제례음식으로 백가지 곡식을 차려놓고 조상님과 부모에게 공양을 올린다고 해서 백종(百種)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시 이날은 불교에서 유래된 것인데, 한 여름동안 기도에 입재를 했던 스님들은 90일 동안의 하안거 수행을 끝내고 백중날 부처님과 영가에게 지극정성으로 공양을 올리는 날이다. 이날을 우란분절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신통제일 목련존자의 어머니가 죄를 짓고 아귀도에 떨어져 있을 때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오미(五味)백과(百科)를 차려놓고 큰 잔치를 벌여 어머니를 천도 했는데, 이를 본받아 많은 사람들이 조상의 성불을 기원한데서 유래된 날이다. 우란분은 밥을 짓는 동이인 盆(분)에 차린 음식을 고봉으로 가득가득 차렸다고 하여 우란분(盂蘭盆)이라 한다.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효에 대한 대표적인 불교경전

-부보님께 효도하는 것은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것

 

 

 

백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를 하려면 부모은중경을 살펴보아야 한다. 부모은중경은 부모의 은혜가 한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고 그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불경으로, 효에 대한 대표적인 경전으로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남방으로 가시다가 뼈 한 무더기를 보고 오체투지로 정중하게 예배를 한 후 아난과 대중들에게 “이 뼈는 전생의 조상이거나 여러 대에 걸친 부모일 것이므로 예배를 하는 것이다.”라고 말씀하시면서 시작한 것이 <부모은중경>이다.

 

부처님은 경전에서 “효의 공덕은 부처님께서 한 겁 동안 계속해서 말씀하시더라도 다 하지 못한다.”고 설하시며,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은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과 같다.”는 말로 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부모은중경>의 특징은 첫째, 열 가지 부모의 은혜를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잉태에서부터 산고를 겪고 아이를 낳고, 정성을 다해 기르는 끝없는 사랑을 이야기 하고 있다.

 

둘째, 어머니가 자식을 잉태하고 낳을 때 까지 10개월을 생태학적으로 설명하였다. 당시에 뱃속 아이의 상태까지 요새의 초음파를 보듯이 설명했다는 것이 놀랍다.

 

셋째, 어머니의 은혜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넷째, 은혜를 갚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였다.

부처님은 “부모님의 은혜를 갚으려거든 부모님을 위하여 이 경을 쓰고, 부모님을 위하여 이 경을 독송하며, 부모님을 위하여 죄와 허물을 참회하고, 부모님을 위하여 삼보를 공경하고, 부모님을 위하여 재계를 받아 지니며, 부모님을 위하여 보시하고, 복을 닦아야 하느니라. 만일 능히 이렇게 하면 효도하고 순종하는 자식이라 할 것이요, 이렇지 못한다면 이는 지옥에 떨어질 사람이니라.”라 설하였고, 이를 계기로 백중(우란분절)에 부모를 위해 삼보(三寶; 佛, 法, 僧)에 공양하게 된 것이다.

 

<부모은중경>의 언해본에 관한 기록은 없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 된 책이 1553년(명종 8년) 경기도 장단 화장사(華藏寺)에서 간행되었으므로 늦어도 16세기 중엽에는 번역, 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화장사판은 현재 행방이 알려져 있지 않고, 국내의 현존 본으로는 1563년 전라도 송광사 간행본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현실적으로 현대판 고려장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나를 위해 희생하던 부모님께 받기만 하다 보니 그것이 습(習)이 되어 연로한 부모를 공양하기보다 더 이상 받을 것이 없다고 부모를 버리는 이들이 많은 세상이다. 더욱이 돌아가신 부모의 영가를 위한 재는 점점 줄어드는 것이 현 실태이다.  

 

자식을 위한 명품 옷이나 사교육비는 아까워하지 않으면서 부모를 위한 병원비가 아까운 세상이 되어 버렸다. 백중을 맞이하여, <부모은중경>을 통해 나의 효행을 점검하고 채찍질하는 모습을 배웠으면 한다. 자식이 나의 효행을 보며 습득하고 있다.

 

그렇다면 백중은 우리민족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불과 얼마 전만 해도 백중은 대단히 중요한 명절 가운데 하나였다. 바쁜 현대인들은 챙길 날들이 너무 많아서인지 백중을 자꾸만 잊어가고 있다.

 

백중이 음력 7월 15일라는 것 마저 모르는 이들이 태반이다. 이러한 시기에 백중의 의의를 다시 한 번 새겨보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겐 커다란 삶의 여유가 될 듯하다. 과연 백중이란 무슨 의미를 가진 날이고, 불가에서는 왜 백중의 의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백가지 곡식 씨앗을 갖추어 놓은 날

 

백중(百中)은 하안거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로, 백종(百種), 중원(中元) 혹은 망혼일(亡魂日)이라고도 불린다. 백종(百種)이란 말 그대로 백가지 종자라는 의미로 7월 15일 무렵에 백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는 것에서 유래된 말이다. 우리나라는 백중에 한창 바쁜 농번기에 잠시 일을 멈추고 머슴의 힘든 몸을 쉬게 하여 돈 등을 주어 쉬게 하거나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세시풍속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원은 도교에서 유래된 말로 천상의 선관(仙官)이 1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피다고 한다. 이때를 원(元)이라 한다. 1월 15일은 상원(上元), 10월 15일은 하원(下元)이라고 하며, 7월 15일은 중원(中元)이라 하여 초제(醮祭)를 지내었다.

 

망혼일의 의미는 돌아가신 망친(亡親)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서 그 해에 새로 나온 과일과 곡식을 조상에게 올린 것을 뜻한다.

 

 

조상님께 공양 올리고 살아계신 부모님께 효도하는 날

 

불가에서는 하안거라 하여 수행자들이 음력 4월 15일부터 석 달 동안 한곳에 머물면서 좌선과 수행에 전념한다. 하안거를 마치고 서로의 공부를 점검하고 묻고 정진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여름에 하안거와 겨울에 동안거를 하고 있다. 안거의 시작은 결하(結夏) 혹은 결제(結制)로 안거의 마지막은 해하(解夏) 혹은 해제(解制)라고 칭한다. 백중일인 7월 보름은 하안거를 해제하는 날이다. 따라서 승려들의 입장에서 보면 짧지 않은 기간 동안의 숙제에서 해방되는 날이다.

 

백중은 불가에서 ‘우란분절’이라 하여 조상 천도를 위한 불공과 재를 올리는 날로 정하고 있다. <우란분경>과 <목련경>에서는 백중이 우란분절이라 불리게 된 유래를 설명하고 있는데, 부처님의 십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인 목련존자의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백중(우란분절)은 대목건련이 어머니가 아귀 고통을 받는 것을 알게 된 후 부처님께 어머니의 구제방안을 여쭤본 일에서부터 기원한다. 『우란분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그 내력이 나온다.

 

부처님께서 사위성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적에 대목건련이 여섯가지 신통을 얻고, 부모를 제도하여 은혜를 갚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의 죽은 어머니는 아귀로 태어나 음식은 보지도 못하고 피골이 상접하여 있었다. 목건련이 슬피 울며 바루에 밥을 담아 어머니께 가서 주었으나, 밥이 입에 들어가기도 전에 갑자기 불덩이로 변하여 먹지 못했다. 이것을 보고 목건련이 슬피 울며, 부처님께 이를 자세히 여쭈었다.

 

 

 

 

부처님께서는 목건련의 말을 들으시고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었다.

 

“너의 어머니는 죄의 뿌리가 깊이 맺혀서 너 한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가 없느니라. 네가 비록 효순하여 이름이 천지를 진동할지라도 천신 지신 사마외도 도사 사천왕신들도 또한 어찌하지 못할 것이요, 반드시 시방의 여러 스님네의 위신력을 얻어야 해탈할 수 있으리라. 내가 이제 너에게 구제하는 법을 말해 주어 온갖 어려움에서 모든 근심과 괴로움을 여의고 죄장이 소제(消除)하게 하리라.”

 

다시 부처님께서 목건련에게 말씀하셨다.

 

“7세의 부모나 현재의 부모가 액난 중에 있을 때에 이를 위하여 마땅히 시방의 여러 스님네가 칠월 십오일에 자자(自恣)할 때 밥과 백 가지 맛의 과일과 물 긷는 그릇과 향유와 초와 평상과 와구를 갖추고, 세상에 맛난 음식을 그릇에 담아 시방의 대덕 스님께 공양하여야 할 것이니라.

  

이 날에는 모든 성현들이 산간에서 선정을 닦거나, 네 가지 도과를 얻거나, 혹은 나무 밑에서 경행하거나, 육신통이 자재하여서 성문 연각을 교화하거나, 십지보살이 방편으로 비구의 모습을 나타내어 대중 가운데 있으면서 모두 한결같은 마음으로 바루와 밥을 받느니라. 청정한 계를 구족한 성현들의 도가 그 덕이 왕양하니라.

  

누구라도 이 자자하는 승가에게 공양하는 이는 현재 부모와 7세의 부모와 여섯 가지 친속이 삼도의 괴로움을 벗어나서 곧 해탈할 것이요, 의식이 자연히 이르리라. 현존하는 부모는 백 년 동안 복락을 받을 것이요, 이미 돌아가신 7세 부모는 천상에 태어나되 자재하게 화생하여 천화광에 들어가 무량한 쾌락을 받으리라….”

 

이처럼 부처님께서는 목건련을 위하여 목건련의 어머니가 아귀고를 벗어날 방도를 알려주셨다. 또한 부처님께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미래 세상의 불제자로서 효순을 닦는 이들이 모두 현재의 부모나 과거 7세 부모를 위하여 칠월 십오일 불환희일 승자자일에 백 가지 맛있는 것을 우란분 안에 담아 시방의 자자하는 스님에게 베풀고 발원하여,

 

현재의 부모는 수명이 백년에 무병하고 아무 고통이 없게 하고, 7세 부모는 아귀의 고통을 떠나서 인천(人天)에 태어나서 복과 낙이 다함이 없게 하라고 말씀하셨다.

 

부모님의 은혜는 참으로 깊고도 넓다. 따라서 우리는 부처님께서 알려주신 방편을 잘 행하여 이런 부모님의 은혜의 천분지 만분지일이라도 갚도록 노력하여야 마땅할 것이다.

 

돌아가신 조상의 천도를 바라는 정성으로 살아계신 부모님께 효도하는 기간이다. 효란 흔히 유교의 덕목으로 알려져 있지만, 부처님께서는 일찍이 <부모은중경>을 통해 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효의 실천이 얼마나 중요하고도 어려운지를 강조하셨다.

 

부처님은 <부모은중경>에서 우란분절에는 부모를 위해 삼보(三寶; 佛, 法, 僧)에 공양하라고 강조하셨다. 효란 매일 한결같은 마음으로 해야 하는 것이지만, 백중 기도 기간 동안 만이라도 더욱 효의 의미를 되새기고 실천하는데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란분절은 효의 실천기간이다.

 

백중은 1년 중 지옥문이 열리는 단 하루

 

백중은 일 년 중 지옥문이 열리는 단 하루로 조상의 천도를 위해 기도하는 날이고, 수자령(유산이 된 아이) 천도뿐만 아니라 조상이 아니더라도 좋지 못한 죽음을 맞은 이의 천도를 위해 기도해주는 것으로 까지 확대되고 있다.

 

생활에 바쁜 이들에게 조상의 극락왕생을 위한 기도가 어떠한 의미로 다가설지, 또 영가란 미신이라 터부시하는 타종교 신자에게 어떠한 의미가 될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백중이란 어떤 종교에서든지 강조하는 ‘효도(孝道)의 날’이라는 것이다.

 

또한 백중날은 스님들께 공양 올리는 날이다. 조상님들 왕생빌어주는 재비명분보다는 지극정성으로 조상님의 천도를 위해서 염불기도를 해 주시는 스님께 정성껏 공양을 올리는 아름다운 행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