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임진강일기

[감자이야기2]감자와 고구마는 사촌지간?

찰라777 2017. 6. 24. 16:25

보송보송한 햇감자의 맛!

 

감자를 캐낸 하짓날 다음 날 아침. 각하가 감자를 압력밥솥에 쪄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뜨거운 감자'를 밥상에 올렸다. 뜨거운 햇감자를 호호 불어가며 먹는 맛이 그만이다.

 

, 뜨거워! 그런데 맛은 그만이네!”

햇감자라 그런지 맛이 보송보송해요!”


햇감자 맛이 말 그대로 보송보송하다.

어떤 시인의 표현은 햇감자 맛이 팍신팍신하단다.

보송보송, 팍신팍신... ㅋㅋㅋ 어쨌든 이는 햇감자 특유의 맛이다.

햇감자 맛은 그야말로 토속적이다. 어린 시절에는 뜨거운 감자를 급하게 먹다가 입천장을 데는 경우다 많았다. 햇감자 맛은 중독성이 강할 정도로 맛있다!

 

▲감자를 캐낸 하짓날 다음 날 아침. 아내가 감자를 압력밥솥에 쪄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뜨거운 감자'를 밥상에 올렸다. 뜨거운 햇감자를 호호 불어가며 먹는 맛이 그만이다

 

정치하는 사람들도 삼킬 수도 없고 뱉을 수도 없는 '뜨거운 감자'를 식탁에 올려놓고 논쟁만 일삼을 것이 아니라, 서민들이 먹기 좋고 배고픔도 해결해 줄 수 있는 '뜨거운 감자'를 밥상에 올려놓으면 얼마나 좋을까?



마마자국처럼 못생긴 감자

 

감자는 나처럼 '못생긴' 식품이기도 하다. 울퉁불퉁한 모양과 우중충한 색깔이 볼품없다. 그런데 이번에 모래땅에서 캐낸 감자는 한결같이 매끈하다. 스페인 정복자들이 페루 안데스 산맥에 유럽으로 감자를 들여왔는데, 한때 유럽에서는 싹을 틔우는 감자의 작은 점들이 당시 무시무시한 병이었던 천연두의 마마 자국처럼 생겼다고 해서 '악마들이나 먹는 식품'이라고 터부시하기까지 했다



한때 유럽에서는 싹을 틔우는 감자의 작은 점들이 당시 무시무시한 병이었던 천연두의 마마 자국처럼 생겼다고 해서 '악마들이나 먹는 식품'이라고 터부시하기까지 했다


오죽했으면 못생긴 사람들을 두고 감자처럼 생겼다고 했을까? 하지만 이토록 퉁명스럽게 생긴 감자는 인류의 긴 역사 속에서 배고픔과 기근을 해결해준 구황작물이기도 하다. 이제 감자는 벼, , 옥수수와 함께 세계 4대 작물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식량이다. 세계인의 주식으로, 또한 현대인들이 즐기는 패스트푸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감자는 뿌리식물인가? 줄기식물인가?


그렇다면 감자는 도대체 어떤 식물인가? 한마디로 말하면 감자는 뿌리식물이 아니다. 감자는 가짓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 한해살이 줄기식물이다. 흔히 감자와 고구마가 둘 다 땅속에서 자란다는 점에서 사촌지간 정도로들 여기지만, 감자는 가지, 토마토, 고추, 토란, 돼지감자 등과 같은 가짓과 식물에 속한다.


감자와 고구마가 둘 다 땅속에서 자란다는 점에서 사촌지간 정도로들 여기지만, 감자는 가지, 토마토, 고추, 토란, 돼지감자 등과 같은 가짓과 식물에 속한다.


반면에 고구마는 메꽃과 식물로 뿌리식물에 속한다.  감자는 잎줄기에서 땅속으로 뻗은 굵은 줄기 마디로부터 땅속으로 철사처럼 가느다랗고 하얀 '기는줄기'가 뻗어 나와 그 끝이 비대해지며 '덩이줄기'를 형성한다. 감자는 이 덩이줄기의 끝에 양분을 저장하며 점점 뚱뚱해지면서 둥글게 변한다.


감자는 씨앗이 아닌 줄기라는 영양기관을 통해서 영양생식을 하는 줄기식물이다. 태아가 탯줄을 통해 양분을 빨아들이며 점점 커지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먹는 통감자는 뿌리가 아닌 줄기라는 것이다아내에게 감자가 줄기라고 말했더니 "감자가 줄기라니요, 그게 뿌리지 무슨 당치도 않은 억지 말씀을 하세요?"라는 반응이 돌아왔다


감자는 잎줄기에서 땅속으로 뻗은 굵은 줄기 마디로부터 땅속으로 철사처럼 가느다랗고 하얀 '기는줄기'가 뻗어 나와 그 끝이 비대해지며 '덩이줄기'를 형성한다.


학술적으로 감자는 하얀 줄기를 통해 영양을 빨아 먹는 줄기식물이다. 하지만, 나 역시 감자가 뿌리라는 아내의 생각과 별다름이 없다. 덩이줄기는 괴경(塊莖)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덩이줄기의 오목하게 팬 자국에서 작고 어린 싹이 돋아난다.


하짓날 남작을 캤더니 완전한 흰색은 아니지만 다소 노리끼리한 감자가 쏟아져 나왔다. 아직 자주감자는 캐지 않고 있다. 보나마나 캐보면 자주색 감자가 열렸을 것이다


자주꽃 핀건 자주 감자

파 보나 마나 자주 감자

하얀꽃 핀건 하얀 감자

파 보나 마나 하얀 감자


하짓날 남작을 캤더니 완전한 흰색은 아니지만 다소 노리끼리한 감자가 쏟아져 나왔다.


자연의 섭리를 노래한 권태응 시인의 <감자꽃>은 단순하면서도 명약관화하다일제 식민지 시대에는 이 시를 개사해 이렇게도 불렀다고 한다


조선꽃 핀 건 조선감자

파 보나 마나 조선감자

왜놈꽃 핀 건 왜놈감자

파 보나 마나 왜놈감자 


▲아직 자주감자는 캐지 않고 있다. 파 보나마나 캐보면 자주색 감자가 열렸을 것이다.

일제강점기 춘궁기에 배고팠던 우리 민족의 설움을 대변했던 시이기도 하다이처럼 감자가 열리는 것은 흰 깃털을 가진 흰색 레그혼(Leghorn, 흰 닭)은 흰색 달걀을 낳고, 갈색 털옷을 입은 갈색 레그혼(갈색 닭)은 갈색 달걀을 낳는 이치와 똑같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격이다.




어떤 감자는 달걀만큼 크고, 어떤 것은 거짓말을 좀 보태면 아이들 머리만 하다. 이렇게 심기만 하면 황금알을 낳아주는 감자는 우리에게 참말로 고마운 식물이다. 감자를 캐낸 하짓날 다음 날 아침. 아내가 감자를 압력밥솥에 쪄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뜨거운 감자'를 밥상에 올렸다. 뜨거운 햇감자를 호호 불어가며 먹는 맛이 그만이다.  


감자를 캐낸 하짓날 다음 날 아침. 아내가 감자를 압력밥솥에 쪄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뜨거운 감자'를 밥상에 올렸다. 뜨거운 햇감자를 호호 불어가며 먹는 맛이 그만이다.  


정치하는 사람들도 삼킬 수도 없고 뱉을 수도 없는 '뜨거운 감자'를 식탁에 올려놓고 논쟁만 일삼을 것이 아니라, 서민들이 먹기 좋고 배고픔도 해결해 줄 수 있는 '뜨거운 감자'를 밥상에 올려놓으면 얼마나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