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우리강산/전라도

달마산에서 만난 기인청년

찰라777 2009. 9. 15. 11:42

미황사 이야기 

 

 

어느 날 돌로 만든 배가 달마산 아래 포구에 닿았다.

배 안에서 범패 소리가 들려 어부가 살피려 다가갔지만 배는 빈번히 멀어져 갔다.

이 말을 들은 의조화상(신라 경덕왕 시대)이 정갈하게 목욕을 하고 스님들과 동네 사람100여명을 이끌고 포구로 나갔다.

 

그러자 배가 바닷가에 다다랐는데 금인(金人)이 노를 젓고 있었다.

배 안에는 화엄경 80권, 법화경 7권, 비로자나불, 문수보살, 40성중, 16나한, 탱화, 금환, 검은 돌이 실려 있었다.

 

사람들이 불상과 경전을 모실 곳에 대해 의논하는데, 검은 돌이 갈라지며 그 안에서 검은 소가 한 마리 나왔다. 소는 순식간에 커다란 소로 변했다.

그날 밤 의조화상이 꿈을 꾸었는데 금인이 나와서 말했다.

 

“나는 본래 우전국 왕인데 여러 나라를 다니며 부처님 모실 곳을 구하였소. 이곳에 이르러 달마산 꼭대기를 바라보니 1만 불이 나타남으로 여기에 부처님을 모시려하오. 소에 경전과 불상을 실고 가다 소가 누웠다가 일어나지 않거든 그 자리에 불상을 모시도록 하시오.”

 

 

 

 

의조화상이 소를 앞세우고 가는데 소가 한 번 땅바닥에 눕더니 일어났다. 그러더니 산골짜기에 이르러 이내 쓰러져 일어나지 못했다. 의조화상은 소가 처음 누던 자리에 통교사를 짓고 마지막 머문 자리에는 미황사(美黃寺)창건했다. 미황사의 ‘美는 소의 울음소리가 하도 아름다워서 따온 것이고, ‘黃’은 금인의 황홀한 색에서 따와 붙인 것이다.

 

미황사에 다다르니 수려한 산세, 병풍 같은 달마산이 아름다운 전각을 에워싸고 있다. 전에는 대웅보전과 사찰의 흔적만 남아 있었는데, 응진당, 명부전, 삼성각, 만하당, 세심당, 요사체, 향적전, 안심료, 보제루, 감로다실 등이 반듯하게 자리 잡고 있고, 누각 밑으로 밴 약수가 철철 흘러내리고 있다.

 

 

달마산 이야기

  

 

달마산!

달마산에는 미황사와 도솔암 등 12개의 암자가 있었다.

1264년, 겨울에 중국 남송의 배 한 척이 달마산 동쪽 바다에 도착했다.

“이 나라에 달마산이 있다고 하던데 이 산이 그 산인가.” 하며 한 고관이 주민에게 물었다. 주민이 그렇다고 하자 그는 달마산을 향해 합장배례로 예를 표하고는 말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 명성만 듣고 동경하는 마음을 갖고 있었는데 이리 보니 여기서 나고 자란 그대들이 부럽고 부럽도다. 이 산은 참으로 달마대사가 항상 머무를 만하구려.”

그는 달마산을 화폭에 담아갔다.

 

달마대사는 남인도 향지국의 셋째 왕자로 태어나서 석가모니 부처님으로부터 27대 법통을 이어 받은 반야다라존자의 제자가 되었다.

스승의 부탁으로 중국으로 건너가 양나라 무제를 만난다.

양나라 무제와의 문답을 통해 아직은 법을 펼 때가 아니라 생각을 하고 숭산 소림굴에서 9년간이나 사람을 만나지 않고 면벽을 했다.

 

 

이때 찾아온 선종의 2대조사인 혜가대사를 만나 선법을 전해주고 중국역사에서 자취를 감춘다. 그러나 그 어디에도 달마대사의 행적이나 지명을 가지고 있는 곳은 없다.

그때의 중국인들은 달마대사가 해동(한국)으로 건너가 안주한 곳이 이 곳 달마산이라며 찾아오고 부러워했던 모양이다. 미황사 옛 기록에도 모두가 한결같이 달마대사의 법신이 항상 계시는 곳이라고 기록을 하고 있다.

 

미황사에는 때마침 배롱나무꽃이 붉게 물들어 있었다. 대웅보전에 합장 배래를 하고 미황사 왼쪽으로 난 등산로를 따라 달마산 등산에 나섰다. 산은 낮으로 직선으로 가파르게 올라가는 돌길은 범상치가 않다. 쉽게 접근을 할 수 없는 그 산세였다.

 

숨을 헐떡이며 달마봉(물썬봉)에 오르니 봉화대 같은 봉우리가 있고 그 옆에는 개를 두 마리 끌고 온 건장한 청년이 앉아있었다. 그는 두 마리 개의 호위를 받으며 마치 젊은 도인처럼 정좌하고 앉아 있었다. 어쩐지 마음이 끌리는 청년이었다.

 

 

달마산에서 만난 기인 청년

 

 

 

청년은 우리부부의 사진을 기꺼이 찍어주었다. 그리고 청년과 두 마리 개는 초행인 산길을 안내해 주는 헤르메스가 되어주었다. 마치 우리가 올림포스 산을 등정할 때에 만난 백구처럼 그들은 끝까지 달마산 등산을 아내하고 도와주었다. 이 무슨 인연일꼬?

 

오르락내리락 험한 바위길, 밧줄을 타고 오르내리는 길은 위험하기 짝이 없는데 뾰쪽뾰쪽 칼날처럼 서 있는 기암괴석은 저절로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멀리 가까이 다도해와 땅 끝 마을 풍경이 죽여주듯 다가온다. 그러나 도솔암까지 가기에는 너무 벅찼다. 특히 심장이식수술을 받은 지 1년 밖에 되지 않는 아내에게는 무리였다. 여기까지 온 것만 해도 사실 대단한 등산길이다.

 

“저희 농가 집에 가셔서 좀 쉬시고 가시지요?”

“아하, 여기에 집이 있어요?”

“네, 달마산이 하도 좋아 몇 년 전에 달마산 아래에 빈농가 집을 하나 사두었습니다.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함께 가셔서 잠시 쉬어 가시지요? 하루 밤 묵어 가셔도 됩니다.”

“그럴까요?”

 

그렇게 해서 처음으로 달마산에서 만난 인연으로 우리는 청년을 따라 농가 주택으로 갔다. 청년은 서울에 사는데 달마산이 좋아 20번도 더 등산을 왔다고 한다. 전국의 산을 아니 간 곳이 없는데 특히 이곳 달마산이 氣를 받기에 좋은 느낌이라는 것.

 

청년의 농가 집은 송촌 근처에 있었다. 청년의 집에 가기 전에 송촌에서 우리는 돼지고기 두 근과 상추 등을 사들고 갔다. 마을에 도착을 하니 호박이 수백 개 쌓여 있고, 청년의 집은 오래된 빈 집이었다. 집 뒤에는 우물이 있고 소나무와 대나무가 울타리처럼 에워싸고 있었다.

 

“저 소나무가 기를 팍팍 내려 주어요.”

“음, 소나무 기라. 그거 좋지요.”

 

청년은 상추를 우물물에 씻고 브루스타를 켜서 고기를 구었다. 3백여 평 됨직한 농가 주택은 오래된 나무 마루가 놓여 있고, 부엌과 창고 등이 옛날 그대로였다. 앞마당에는 땅콩이 심어져 있고, 울타리에는 다래나무가 둘러쳐져 있었는데 다래(키위)가 주렁주렁 열려 있었다. 청년은 첫 잔은 맥주를 따랐고 술이 약한 나는 맥주만 조금 마셨다. 청년은 맥주를 한잔 하더니 대접을 가져와서 소주 2홉을 콸콸 붇더니 벌컥벌컥 들여 마셨다.

 

“저는 원래 공무원을 했는데 체질에 맞자 않아 그만두고 산을 다니기 시작했어요. 설악산을 20번 정도 올랐을 겁니다. 전국에 산을 안 가본 곳이 없습니다. 그런데 이곳 달마산이 정말 마음에 들어요. 나이가 조금 더 들면 이곳에 눌러 앉을 예정입니다.”

“좋은 생각이군요.”

 

그는 다시 소주 2홉을 대법에 붓더니 벌컥벌컥 들어 마셨다. 그런데도 그는 술 취한 흔적이 전혀 없었다. 달마대사의 기를 내려 받았을까? 아무튼 그는 기운이 장사였다.

 

“곡차 실력이 좋군요.”

“산을 좋아 하다 보니 곡차도 늘더군요. 오늘밤 여기서 주무시고 가시지요?”

“제가 약 때문에 가야됩니다.”

“아, 그러신가요? 그럼 다음에 언제라도 시간 나시면 이 집에 오셔서 머물다 가시지요?”

“감사합니다.”

 

그렇게 처음 만난 사람의 집에 들려 곡차를 한잔 하고 우리는 목포로 돌아왔다. 달마산과 미황사, 그리고 달마대사처럼 기운이 센  기인청년, 두 마리의 개… 오늘 달마산 등산은 참 기억에 오랫동안 남을 것 같다.

 

 

 

 

 

 

 

 

 

 

 

 

 

 

 

 

며느리 밥풀 

 

(2009.9.14 달마산에서 글/사진/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