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임진강일기

헉! 야생 먹구렁이다!

찰라777 2014. 8. 28. 17:02

담벼락에서 제초작업하다 발견한 야생 구렁이

 

오수를 즐기다가 유유히 사라져..

 

 

▲ 담벼락에서 오수를 즐기고 있는 구렁이

 

요즈음은 비가 시도 때도 없이 내린다. 여름에 마른장마가 지속되더니 그동안 내리지 않는 양의 비를 다 쏟아내려는 것일까? 그러나 입추가 지난 후 내리는 비는 가을 곡식이 영글게 하는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햇볕이 쨍쨍 내리쫴야 벼가 알알이 익어가고 과일도 당도가 높아질 텐데, 연일 비가 내리니 농부들은 하늘을 쳐다보며 울상이다.

 

8월 20일, 비가 잠시 그친 틈을 타서 담벼락에 돋아난 잡초를 제거하기로 했다. 지난 5월에 한 번 제거를 했는데, 그새 뿌리에서 돋아난 잡초들이 무성하게 수풀을 이루고 있다. 씨가 맺히기 전에 한 번 더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돌 틈에서 자라나는 잡초는 매우 끈질기다. 그래서 제거하는 작업도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난 담벼락

 

장화와 긴 팔, 토시, 그리고 장갑을 끼고 완전무장을 하였다. 여름철에는 잡초 속에 뱀, 지네, 모기, 벌 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기 때문에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처음에는 언덕에 올라가 낫과 톱으로 작업을 진행했으나 자칫 잘못하면 낙상을 할 우려가 있어 사다리를 놓고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했다.

잡초들이 돌 틈에 어찌나 깊게 뿌리가 박혀 있는지 잘 뽑혀지지가 않는다. 누가 돌보아주지도 않고, 거름을 주는 것도 아닌데 스스로 자생하는 잡초들의 근성은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여긴 돌 틈새가 아닌가? 돌 틈에 자라난 잡초를 바라보며 포기하지 않는 끈질긴 근성을 배운다.

 

이렇게 끈질긴 잡초를 베어 내다보니 온 몸에 땀이 멱을 감듯 흥건히 고인다. 후덥지근한 날씨에 습기가 많아 너무 힘이 들어서 몇 번이나 중단을 할까 망설이다가 기왕에 손을 덴 것이니 잡초에게 배운 근성을 발휘해서 끝장을 내기로 했다.

 

 

▲ 사다리를 놓고 잡초 제거작업을 시작했다.

 

시작이 절반이라고 했던가? 오전 9시 반부터 시작한 작업은 12시경에야 끝을 냈다. 잘라낸 잡초를 손수레에 싣고 퇴비장으로 운반을 했다. 언덕을 올라가는데 숨이 턱턱 막힌다. 헉헉 거리며 퇴비장에 잡초를 차곡차곡 쌓아두었다.

 

작년부터 집 주변에서 나온 풀과 음식 찌꺼기로 퇴비를 만들고 있다. 시골에서 농사를 짓다보면 무엇 하나 버릴 것이 없다. 밭에서 주어낸 돌도 모아두면 다 쓸데가 있다. 텃밭과 정원에서 나온 풀과 먹다 남은 음식찌꺼기를 모아두면 공해 없는 퇴비가 만들어진다. 작년에 쌓아둔 퇴비는 완숙을 시켜 금년에 사용하고, 금년에 만든 퇴비는 내년 이후에 사용을 하게 된다.

 

 

 

▲ 잡초를 손수레에 싣고 퇴비장으로 옮겼다.

 

 

담벼락에서 제초 작업하다가 조우한 야생구렁이

 

어린 시절 퇴비 증산 운동을 하던 생각이 났다. 여름이면 집집마다 퇴비를 많이 만들어내라 모두가 바빴다. 그 때는 화학비료도 별로 없었고, 지금처럼 정부에서 퇴비공장을 지어 공급해 주는 제도도 없었다. 비료 값도 너무 비싼지라 자가 퇴비를 만들어 쓸 수밖에 없었다.

 

동네 사람들은 매일 들과 산에서 풀을 베어서 지게에 지고 와 퇴비 더미를 만들었다. 그리고 비가 오는 날이면 숙성이 잘되도록 퇴비를 뒤집는 작업을 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퇴비더미에 올라 작업을 하다보면 발밑이 뜨겁기까지 했다. 삼복더위에 웃통을 벗어젖히고 비를 맞으며 작업을 했던 모습이 스크린처럼 지나갔다.

 

▲ 잡초를 쌓아 퇴비를 만드는 퇴비장

 

담벼락에서 제초 작업을 하다가 무려 30cm나 되는 지네도 발견했다. 작업을 하기 전에 막대기로 툭툭 쳐서 미리 경고를 울려주곤 하는데, 인기척을 느낀 지네는 재빠르게 돌 틈 속으로 사라졌다. 이젠 지네를 보아도 별로 놀라지를 않는다. 모기들이 수풀 속에서 나와 여기 저기 모기 침을 놓기도 한다. 가장 무서운 것은 말벌집이다. 말벌 몇 마리가 주변에서 비행을 하고는 있었지만 다행히 벌집은 없었다.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작업을 하다가 나는 그만 뒤로 넘어질 뻔했다. 건너편 담벼락 칡넝쿨 사이에 살짝 가려져 있는 어마어마하게 큰 구렁이를 발견한 것이다. 다행히 내가 작업을 하고 있는 곳과는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었다. 구렁이는 움푹 페인 담벼락에 칭칭 똬리를 틀고 자신의 몸뚱이에 턱을 괜 채 고요히 앉아 있었다. 구렁이를 일자로 펼쳐 놓으면 아마 2m는 족히 될 것 같다. 이렇게 큰 야생구렁이는 처음 본다.

 

▲ 구렁이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를 하고 있다.

 

비가 그치고 잠시 햇볕이 쨍쨍 내리쬐고 있어서인지, 녀석은 일광욕을 즐기며 잠시 오수를 즐기고 있는 모양이다. 구렁이는 날이 따듯해지면 먹이를 잡아먹은 뒤 일광욕을 즐기기 위해 볕이 잘 드는 곳에서 낮잠을 자곤 한다. 녀석은 꿈쩍도 하지 않고 초지일관 같은 자세로 꽤 오랫동안 오수를 즐기고 있었다.

 

구렁이는 보통 황구렁이와 먹구렁이 두 종류로 나눠지는데 녀석은 먹구렁이에 속한 것 같다. 올리브색을 띤 갈색 바탕에 흑색의 가로무늬가 뚜렷하게 나 있다. 주둥이는 잘린 모양이며, 파란색의 눈이 제법 크다. 입과 눈 사이에 콧구멍이 타원형으로 뚫려 있다. 이마 판은 방패모양인데, 앞이마 판은 다각형으로 바깥쪽이 좁다.

 

 

▲ 흑구렁이의 머리 모습. 주둥이는 잘린 모양이며, 파란색의 눈이 제법 크다. 콧구멍은 타원형으로 뚫려 있다. 이마 판은 방패모양이고, 앞이마 판은 다각형으로 바깥쪽이 좁다.

 

구렁이는 민가의 돌담이나 방죽, 밭둑의 돌 틈에 서식하며 농가의 퇴비 속에 알을 낳기도 하는데, 퇴비가 발효하면서 생기는 열로 알을 부화시키기도 한다. 그래서 어릴 때 퇴비더미에서 종종 구렁이를 발견하기도 했다.

 

어린 시절 동네 어르신들은 '구렁이가 나타나면 큰비가 내린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이튿날(8월 21일) 그 속담대로 이곳 연천 임진강변에도 많은 비가 내렸다. 우리 민족은 예부터 구렁이는 집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믿으며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오기도 했다.

 

 

▲제초작업으로 말끔해진 담벼락

 

 

우리나라에서는 뱀 꿈을 꾸면 대부분 길몽으로 해석한다. 뱀이 치마 속으로 들어오면 자식을 잉태하게 되며, 구렁이에 물리는 꿈을 꾸고 잉태하면 큰 인물이 될 아이를 낳는 꿈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또 꿈에서 많은 뱀을 보게 되면 하는 일이 잘 풀리고, 뱀을 만지는 꿈을 꾸면 부자가 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흔히 뱀은 혐오의 대상이나 부정적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지만, 구렁이는 재물과 풍요,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래서 예부터 구렁이는 재물을 늘려주는 업(業)으로 여겨왔다. '부잣집 업(業) 나가듯 한다'는 속담은 재물을 늘게 해준 업구렁이가 나간다는 뜻이다. 집안에 구렁이 업이 나가면 망하고, 업이 들어오면 흥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어린 시절 고향의 어르신들이 집에서 발견한 구렁이가 다른 곳으로 나갈까봐 건들지 않고 소중하게 여기는 것을 종종 목격하기도 했다.

 

구렁이는 은혜를 갚을 줄 알고 신통력이 대단한 동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옛날 어린 소년에게 도움을 받았던 구렁이가 소년이 장가가는 길을 따라가서 신랑을 죽이려고 숨어 있던 간부를 찾아내어 신랑을 구출해 주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구렁이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부부의 윤리를 알고 아내의 부정을 용납하지 않는 동물로도 나타나기도 한다. 어떤 한량이 과거보러 가는 길에 구렁이가 작은 뱀과 교미하는 것을 보고 구렁이에게 상처를 입혔다고 한다. 상처를 입은 암구렁이가 수구렁이와 함께 한량에게 복수를 하려고 왔다가 한량의 말을 듣고, 오히려 정조를 지키지 않는 암구렁이가 수구렁이에게 죽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 우리나라 민담에 등장하는 구렁이는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우호적인 동물이다.

 

복권이나 사둘까?

 

구렁이는 주로 소형 포유류와 새, 쥐, 개구리 등을 잡아먹는데, 다람쥐나 청설모, 심지어는 토끼도 잡아먹는다고 한다. 구렁이 한 마리가 보통 1년에 쥐를 100마리나 잡아먹는다고 한다. 따라서 구렁이는 설치류의 포식자로 생태계균형을 유지하는 이로운 동물이다.

 

 

구렁이는 독이 없다. 먹이를 몸통으로 조여서 머리부터 통째로 집어 삼킨다. 뱀 중에서 가장 크고 힘이 센 구렁이는 정력에 좋다고 하여 마구 남획되는 바람에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하여 보호를 하고 있다.

 

저 구렁이는 우리 집을 지켜주는 업신일까? 나는 구렁이가 편히 쉬도록 그 앞을 자나갈 때는 꽃발로 조용히 걸어 다녔다. 오후가 되자 다시 비가 추적추적 내리기 시작했다. 햇볕을 받으며 한 잠 늘어지게 오수를 즐긴 구렁이는 슬그머니 움직이더니 천천히 담벼락 구멍사이로 들어가 버렸다.

 

 

▲제초작업으로 훤해진 대문 앞길

 

"여보, 이렇게 큰 구렁이를 보았는데 복권이나 사둘까?"

"아이고, 아서요. 우리가 아무 탈 없이 건강하게 살고 있는 것이 바로 복권이지요."

"하기야, 복권에 당첨되는 순간부터 불행이 시작된다고 하더군."

 

그렇다. 아내의 말처럼 건강하게 하루하루를 보람 있게 지내는 것이 바로 복권에 당첨된 거나 다름없다. 저 먹구렁이는 도대체 이곳에서 몇 년을 살았을까? 어떻게 보면 녀석은 이 집의 터줏대감이나 다름없다. 나보다 훨씬 먼저 자리를 잡고 살았을 것이 아닌가? 구렁이가 무탈하게 공존하기를 바라며, 언젠가 다시 한 번 조우하기를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