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틀삐틀 트위스트 춤을 추는 보제루 기둥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가 다 허망하다.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본다면
곧 여래를 보리라.”
금강경에 나오는 부처님 말씀입니다. 아무리 단단한 다이아몬드라 할지라도 인연이 다 되어 버리면 흩어져 사라지고 맙니다. 그 도리를 알면 무엇이든 본래의 모습대로 바르게 바라볼 수 있다는 뜻이겠지요. 진실은 진실로 보고 거짓은 거짓으로 보아야만 합니다. 이 세상의 모든 형상 있는 것들의 참모습을 지혜의 눈으로 바르게 바라보고 그대로 행한다면 모든 문제의 해결은 간단하게 해결 될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인간세계는 그렇지를 않습니다. 진실을 손바닥으로 가리고 거짓을 진실로 말하는 세상입니다.
화엄사 보제루를 들어서니 삐틀삐틀한 기둥들이 춤을 추며 보제루를 받들고 있습니다.
"와우, 기둥이 트위스트 춤을 추네요!"
몇 해 전 호주에서 온 친구 존이 저 보제루 기둥을 보고 한 말입니다. 그의 말을 듣고 보니 보제루 기둥들이 정말로 트위스트 춤을 추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눈에 보이는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는' 존의 눈은 참으로 진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부처님께서도 분명히 우리와 똑 같은 육안으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았겠지요, 그렇지만 부처님은 육안, 천안, 혜안, 법안, 불안 즉 오안을 두루 갖추고 계시므로 모든 것을 동일한 몸으로 본다고 합니다. 즉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사물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하나로 눈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중생을 두루 제도한다는 뜻을 가진 보제루는 보통 대웅전 앞 위치하고 있습니다. 중심 불전을 마주 올려다 볼 수 있는 누각에서 법회의식을 진행을 하는 곳이지요. 그런데 화엄사 보제루는 특별함이 숨어 있습니다. 대개 절에서는 누하진입이라 하여 누각 아래로 들어가지만 화엄사 보제루는 기둥을 낮게 하여 누하진입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 오른쪽으로 돌아서 본전 전각으로 들어서게 되어 있지요. 이는 화엄사의 중심영역인 각황전, 대웅전, 대석단, 탑이 펼쳐지는 장엄한 경관을 보다 감동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건축적 배려라고 합니다. 자신을 낮추어 보다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내는 셈입니다.
그러나 그런 비밀스런 건축적 배려보다는 보제루를 받치고 있는 삐틀삐틀한 기둥에 꽂힙니다. 보제루의 기둥은 보면 볼수록 자연미가 넘쳐흐릅니다. 자연 그대로의 굵은 나무를 굽은 대로 설렁설렁 다듬어 그대로 사용을 한 것입니다. 얼핏 보면 존이 말한 것처럼 나무 기둥들이 트위스트 춤을 추고 있는 듯이 보이기도 합니다. 단청도 하지 않은 채 자연 그대로의 숲 속 나무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도 합니다.
화엄사의 매력은 바로 건물을 받치고 있는 기둥들에 있습니다. 화엄사에는 수많은 보물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어 볼거리가 수두룩하지만 전각을 받치고 있는 나무기둥들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화엄사를 올 때마다 나는 춤을 추는 기둥들이 살아 있는 듯 춤을 추며 보제루를 받치고 있는 자연그대로의 고색 찬연한 모습에 반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대웅전과 원통전
각황전과 석등
각황전
숙종이 사액한 각황전 편액
서오층석탑
각황전과 석등
석등
범종각
보제루에서 오른쪽으로 돌아서면 절로 감탄사가 나옵니다. 화엄사 최고의 멋진 경관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높은 석단으로 둘러싸인 너른 마당에는 두기의 석탑이 서 있고, 석단 위로는 각황전, 대웅전, 원통전, 명부전의 오래된 전각이 지리산 봉우리들과 함께 장엄하게 펼쳐집니다. 마치 연꽃으로 장엄한 화엄세계에 들어온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절대로 서두를 일이 아닙니다. 보제루의 마루에 편하게 걸터앉아 지리산자락에 펼쳐진 장엄한 화엄세계를 찬찬히 음미를 해 보아야 합니다.
화엄사는 1500여 년 전(백제 성왕 22년, 서시 544년) 천축국(인도)에서 연이라는 짐승을 타고 온 연기조사가 창건을 한 절입니다. 신라시대 원효대사는 이 터에서 화랑도들에게 화엄사상을 가르치며 신라통일의 위업을 달성케 했고, 의상은 각황전 자리에 장육전을 짓고 벽에 화엄경을 새겨 넣어 화엄사상을 펼쳤습니다. 그 당시 장육전은 3층 규모로 1장 6척(4.8m)의 거대한 석가여래입상을 모셨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서오층석탑
신라말기(875)에 도선국사는 동오층석탑과 서오층석탑을 조성하여 화엄사 중흥조가 되었습니다. 도선국사는 풍수지리의 대가입니다. 도선국사는 화엄사 대가람의 배가 백두산 혈맥의 웅대한 힘과 섬진강의 태극의 힘에 출렁되는 것을 보고 부처님 사리를 두 탑에 봉안하여 요동함을 막음과 동시에 가람의 원만한 기운이 감돌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서오층석탑 기단 아래에 새긴 12지신은 개개인의 사람들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은 수호신이고, 위 부분에 새긴 조각은 팔금강과 사천왕으로 부처님의 법과 부처님의 제자를 지키고 보호하는 신이라고 합니다. 2층 기단은 상대의 차별을 없애고 절대 차별이 없는 이치인 불이법을 표현한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동오층석탑의 오층은 삼계(욕계, 색계, 무색계), 보살계, 불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 두 개의 탑에서 1995년과 1999년 탑을 보수 중 부처님 진신사리 30과를 비롯하여 400여점이 넘는 성보 유물이 나왔다고 합니다.
원더풀! 저 기둥은 활처럼 휘어 졌네요!
보제루 마루에 한동안 앉아 있다가 높은 석단을 올라갔습니다. 비로자나불을 모신 대웅전에 참배를 하고 나와 왼쪽으로 돌아가 그 유명한 각황전 앞에 섰습니다. 각황전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장육전 자리에 새로 지은 건물입니다. 법당을 지은 후 숙종은 각황전이라는 편액을 내려주었는데, 각황전의 사액에는 거지가 숙종의 공주로 환생하여 시주하였다는 민간의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원더풀! 저 기둥은 활처럼 휘어졌네요!"
▲활처럼 휘어진 채 각황전 처마를 받치고 있는 활주
호주에서 온 존이 한 말입니다. 존은 각황전 처마를 활처럼 휘어진 기둥이 받치고 있는 모습을 매우 신기한 듯 한참동안 바라보았습니다. 저렇게 활처럼 휘어진 활주는 화엄사 각황전에서만 볼 수 있은 멋진 기둥입니다. 활처럼 휘이진 채 각황전 처마를 받치고 있는 ‘활주’를 보면 목조건물에만 볼 수 있는 건축예술의 극치를 보는 느낌이 듭니다. 저렇게 휘어진 채 몇 백 년을 무거운 처마를 받치고 있다고 생각을 하니 그저 신기하게만 보일 따름입니다.
활주는 목조건축물 중 추녀가 밖으로 많이 돌출되어 지붕이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한 보조기둥입니다. 그런데 대개 다른 건축물의 활주는 곧은 기둥을 세우기 마련인데, 각황전은 활처럼 휘어진 곡선미를 가진 나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래 그 모습 그대로 것이 아름다울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화엄사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기둥입니다.
▲화엄사 각황전 기둥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신 사사자3층석탑
▲어머님께 차를 올리고 있는 연기조사 효대
▲사사자3층석탑과 소나무
각황전 뒤 언덕에는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셔와 사사자삼층석탑에 봉안을 했습니다. 동백꽃이 맺혀있는 108계단을 따라 올라서면 거대한 소나무 밑에 연기조사의 지극한 효심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석탑과 효대가 있습니다. 지금도 연기조사는 머리에 석등을 지고 어머님께 차를 올리고 있습니다. 천년이 넘게 차를 공양하고 있는 연기조사의 모습은 경건하기 그지없습니다.
암수 두 쌍, 네 마리의 사자가 받치고 있는 사사자삼층석탑은 그 모양새가 독특합니다. 히죽 웃는 모습, 슬픈 표정, 찡그린 모습, 환한 얼굴 등은 인생의 희로애락을 표현 한 것이라고 합니다. 화엄사에 가거든 반드시 이곳에 올라 참배를 하고 오래된 소나무 그늘 아래 앉아 섬진강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휘휘 둘러보는 지리산 자락과 섬진강을 내려다보는 풍광은 두고두고 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국내여행 > 찰라의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을 기다리는 화개동천 (0) | 2015.01.28 |
---|---|
득도한 모과나무 기둥이야...화엄사 구층암 (0) | 2015.01.28 |
눈을 부릅 뜨고 있는 사천왕을 볼 때마다 가슴이 덜컥! (0) | 2015.01.22 |
각황전 소나무 기둥에 기대 앉아 (0) | 2015.01.19 |
15년 걸쳐 암자 일구고... 훌쩍 떠나는 스님 (0) | 201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