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찰라의세상보기

따뜻한 솜이불 속에서 피어나는 비파나무 꽃

찰라777 2014. 2. 3. 04:50

어머님 산소에 피어나는 비파나무 꽃을 바라보며…

 

무궁화호를 타고 도착한 남도의 고향은 봄처럼 따뜻했습니다. 날씨가 어찌나 포근한지 벌써 봄을 맞이한 느낌이 들 정도였습니다. 설날 하면 항상 너무 추워서 벌벌 떨며 동네 어르신들에게 세배를 하러다니고, 눈이 발목까지 푹푹 빠지며 성묘를 다녔던 생각만 나는데, 눈은커녕 20도가 넘는 따뜻한 기온은 겨울을 잊게 해줍니다. 내 기억으로는 이렇게 따뜻한 설날은 처음 맞이하는 것 같습니다.

 

 

▲ 솜이불처럼 따뜻하게 꽃잎을 감싸고 있는 비파나무 꽃받침. 노란 솜털 속에 하얀 꽃잎이 뾰조롬히 내밀고 있다.

 

 

설날 아침 고향 뒷산으로 성묘를 갔습니다. 내 고향 뒷산은 '오룡산'이라 부르는데 용 다섯 마리가 으르렁 대는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래서 우리 동네 이름도 '용포'라고 부릅니다. 지금은 영산강 하구를 막아 바닷물이 들어오지 않지만 옛날에는 바닷물이 동네 어구까지 들어와 용들이 사는 포구라는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라 합니다. 

 

오룡산은 예부터 명산으로 동네 어르신들이 아끼던 산입니다. 승달산에서 뻗어 내려온 산줄기는 국사봉을 지나 이곳 오룡산에서 다섯 개의 용머리를 이루며 멈춥니다. 이 오룡산을 등에 지고 전라남도 도청이 들어서서 서남해안권의 중심지로 급부상을 하고 있습니다.

 

오룡산 인근에는 오룡, 회룡, 남악, 신흥, 용포라는 지명을 가진 마을들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오룡마을은 용 다섯 마리가 모여 있는 지형이라서 생긴 이름이고, 회룡은 용이 다시 돌아오는 지형이라 붙여진 이름입니다. 남악은 오룡산의 남쪽에, 신흥은 다시 크게 흥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내가 태어난 용포는 원래 100여 호를 이루는 큰 마을이었습니다. 너른 자방포 뜰을 앞에 두고 용포리를 이루는 마을에는 후정, 용계, 안동, 덕치라는 자연마을이 있습니다. 후정마을은 옛날 이 마을 장자나무에서 왕과 왕후가 쉬었다 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용계는 마을 뒷산이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어서 생긴 지명이라 합니다. 옛날에 지어놓은 마을 지명은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 같습니다.

 

 

▲ 잎과 열매가 현악기인 <비파>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비파나무

 

우리 집 산소는 오룡산 초입에 있습니다. 산소에 오르니 비파나무와 동백꽃이 피어 있군요. 몇 해 전 어머님 산소를 이곳으로 옮기며 비파나무와 동백을 몇 그루 심었습니다. 그런데 그 나무에서 해마다 겨울이 오면 이렇게 향기 나는 꽃을 피워 주고 있습니다.

   

비파나무를 보면 어머님의 살아생전 모습이 비파나무 향기처럼 피어오릅니다. 비파나무는 가을에 꽃 봉우리를 맺은 후 기다리고 기다리다가 한겨울 맹추위가 기승을 떨칠 무렵에 피어나는 꽃입니다. 노란 꽃받침 속에서 피어나는 하얀꽃은 마치 어머님의 따뜻한 손길처럼 포근하기만 합니다.    

   

가지 끝에 촘촘히 어긋나며 돋아나는 잎은 거꾸로 된 넓은 피침 형이며, 앞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갈색 솜털로 덮여 있습니다. 그 가지 끝 원추형꽃차례에 달리는 흰색 꽃송이는 연한 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그 속에서 다섯 장의 하얀 꽃잎이 피어나는데, 그 꽃이 지고나면 노란 황금색의 비파나무 열매가 열립니다. 그 열매는 달걀을 새운 모양 같기도 하고, 비파 악기를 닮은 모양 같기도 합니다.  

 

<비파>라는 이름은 열매가 비파를 닮아서 붙여졌다고도 하고, 이파리가 비파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라 하는데, 둘 다 생김새가 비파라는 현악기를 닮아 있습니다. 비파를 닮은 잎 속에서 꽃이 지면 초여름에 비파나무 열매가 노랗게 익어갑니다. 그 열매를 따서 맛을 보면 달콤새콤한 맛이 납니다.

 

 

▲ 한 겨울에 핀 하얀꽃이 지고나면 초여름에 비파를 닮은 열매가 열린다.

 

목포시에서는 비파나무를 시목(市木)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그 정도로 이 지역에는 비파나무가 잘 자라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이름 있는 의학자인 황도연(1808-1884)이 쓴 <방약합편>에는 비파 잎(枇杷葉)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枇杷葉苦偏理肺 解酒淸上兼吐穢(비파엽고편이폐 해주청상겸토예)-비파 잎은 맛이 쓴데/ 폐에 온 병 낫게 하고/술독 또한 풀어주네/상초의 열내리우고/ 겸하여서 게우는 것/멎게 한다 하더라.

 

또 본초강목에는 '비파 잎은 성질이 평 하다고도 하고 차다고도 하며, 불에 구워서 천으로 솜털을 닦아내고, 폐와 위의 병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씨앗은 가래를 삭이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예부터 '비파나무가 자라고 있는 가정에는 아픈 사람이 없다'는 속담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을 정도입니다. 이는 그만큼 비파나무가 질병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험이 있다는 증거겠지요.

 

비파나무 꽃은 겨울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마치 북극곰처럼 노란 털 속에 잔뜩 묻혀서 피어납니다. 그 노란 털 속에 흰 꽃들이 뾰조롬히 내밀며 추위를 염탐하고 있습니다. 그 모습이 어찌나 앙증맞던지 나는 그만 꽃잎에 입맞춤을 하고 말았습니다.

 

해마다 설날이 돌아오면 어머님께서는 손수 물레를 돌려 베틀로 짜서 때때옷을 만들어 주시곤 하셨습니다. 그 때때옷에는 눈 속에서 굴러도 춥지 않을 만큼 목화로 만든 솜을 골고루 넣어주셨습니다. 지금 이 비파나무 꽃이 마치 솜이불 속에서 피어나는 것 같군요.

 

 

▲ 우정출현을 하듯 다투어 피어나는 동백꽃

 

비파나무 옆에는 동백이 빨갛게 우정출연을 하며 피어나고 있습니다. 한겨울에 피어나는 꽃은 참으로 위대합니다. 살을 에는 추위 속에서 피어나는 꽃들을 바라보노라면 다시 어머님의 말씀이 생각납니다. "인내는 쓰나 그 열매는 다니라" 어머님께서는 늘 노력을 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며 이 말씀을 설날 아침에 해 주시곤 하셨습니다.  

 

비파나무 꽃을 바라보노라니 어머님의 살아생전 모습이 생생히 떠오릅니다. 저 앙증맞은 비파 꽃은 마치 나의 존재와도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비파 꽃을 감싸고 있는 노란 솜털은 어머님이 만들어 주신 따뜻한 솜바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추운 겨울, 비파꽃을 감싸고 있는 솜털처럼 부드럽게 나를 어루만져주시는 어머님이 그립기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