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임진강일기

잃어버린 전지가위

찰라777 2017. 7. 18. 07:21



 

며칠 전 정원에서 일을 하다가 나는 전지가위를 잃어버렸다. 기껏해야 2~3만원 정도 하는 가위인데 왜 이리 마음이 허전한지. 심지어는 우울해 지기까지 한다. 오늘도 나는 정원과 텃밭에서 잡초를 정리하며 혹시나 전지가위가 나타나지는 않나 하고 자꾸만 두리번 거린다.


그러나 곧 어디선가 발견을 할 것 같은데 전지가위는 나타나지 않는다. 전지가위에 발이 달린 것도 아니고, 어디로 달아나지도 않았을텐데. 기껏해야 전지가위는 금가락지 내에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찾아내지 못하고 있으니 더욱 답답하다.

 

전지가위는 내가 가지고 있는 물건 중에서 몇 번째 안가는 소중한 물건이다. 내가 아끼는 물건은 20년 전에 스위스을 여행하다가 사온 아미나이프가 있고, 35년 전 이태리를 여행하며 피사의 사탑에서 사온 피사의 사탑모형 연필꽂이, 그리고 10여년 전 호주 태즈매니아를 여행하며 휴온 파인트리(Huon Pine Tree)로 만든 작은 목각 연필꽂이다. 또 여행을 하며 사온 CD음반, 티셔츠 따위다. 값비산 것은 거의 없고, 모두가 10달러 내외의 기념품들이다.

 

피사의 사탑 연필꽃이는 지금도 탑의 상단부 일부가 부러진채 내 책상위에 놓여있다. 나는 이 피사의 사탑 모형 연필꽂이를 볼 때마다 불가사의하게 기울어져 있는 피사의 사탑을 떠올린다. '기적의 들판'에 세워진 파사의 사탑은 여덟줄의 아치가 에워싸고 맨 꼭대기에 종루를 올려 놓았다.


이 종탑은 원래 수직으로 설계되었으나 착공 때부터 징크스에 걸려 있었던 것 같다. 피사으 ㅣ사탑은 1173년 착공되어 1372년까지 약 200년 동안 3차례에 걸쳐 공사가 진행되었다. 진흙, 고운 모래, 조개껍데기 등으로 구성된 미끄러운 토대위에 밑돌을 놓은 바람에 곧 눈애 띄게 함몰이 되었고, 1178년에는 겨우 3층밖에 올리지 못하고 공사가 중지되었다.


1173년 이래 점점 기울어지는 피사의 사탑은 세간의 화제가 되고 있다. 1991년부터 2001년에 걸쳐 현대기술이 허락하는 온갖 공학적 기술을 다 동원하여 기단부 재건 공사가 진행되었다. 전문가들은 이 탑을 후세에게 보전하기 위해 흙을 추출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10년에 걸친 보수작업을 진행하여 기굴어짐 현상은 5.5º에서 멈춘상태라고 한다.


흰대리석으로 된 둥근 원통형 8층 탑은 58.36m의 높이에 모게는 1만 4453톤으로 추정된다. 2008년 현재 기울기는 중심측으로부터 약 5.5º이다. 피사의 사탑을 볼 때마다 갈릴레이가 연상된다. 갈릴레이는 피사의 사탑에서 무게가 다른 두개의 공(1파운드, 10파운드)을 떨어뜨리는 낙하실험을 통해, 지표면에  위의 같은 높이에서 자유낙하하는 모든 물체는 질량과 무관하게 동시에 떨어진다는 낙체법칙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점점 기울어지는 피사의 사탑(네이버백과 참조)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역학에서는 무거운 물체는 지구 중심으로 다가가려는 성질이 더 크기 때문에 가벼운 물체보다 더 빨리 떨어진다고 믿었다. 그러나 갈릴레이는 피사의 사탑에서 무거운 공과 가벼운 공을 함께 떨어뜨리는 낙체 실험을 통해 무거운 물체와 가벼운 물체가 같이 떨어진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전해진다.


갈릴레이는 '그래도 지구는 동다'는 지동설을 주장하다가 두 번의 재판을 받았다.   갈릴레이의 이단죄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는 그의 주장이 ‘하나님은 지구를 굳은 반석 위에 세우시고 영원히 움직이지 않도록 하셨다’라고 한 성경 말씀에 어긋난다는 것이었다. 이로인해 갈릴레이가 쓴 '두 체계의 대화'는 금서가 되었고, 갈릴레이도 가택에 연금되는 선고를 받았다.


가택에 연금된 갈릴레이는 얼마나 우울했을까? 이는 성경이 틀린 것이 아니라, 후세에 성경을 집필한 사람이 틀렸을 가능성이 많다. 나는 피사의 사탑 모형도를 바라보며 지금 현대과학의 기준으로 생각하면 이 웃지 못할 갈릴레이의 종교재판 떠올리곤 한다. 현대에도 갈릴레이의 종교재판 같은 엉터리 재판은 지속되고 있다. 분명히 진실은 있는데 그 진실을 가리고 거짓으로 증언하거나, 진실을 증언했는데도 이를 거짓증언으로 판단하고 오판을 하는 재판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야기가 많이 새어나갔다. 어쨌던 연필을 다섯 개나 꽂을 수 있는 휴온파인트리 연필꽂이도 내 책상을 지키고 있다. 남극에서 가까운 태즈매니아에서 사온 이 연필꽂이는 6개의 면에 주사위 구멍이 뚫려있다.

 

 

주사위의 기원은 BC3400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 왕조시대(BC3400~BC1150)에 발견된 주사위는 그리스와 로마, 지중해 연안으로 전래되었다고 한다. BC49년에 카이사르가 "주사위는 던져졌다"고 선언하며 루비콘 강을 건너 로마로 진격했다는 고사는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이 돌이킬 수 없는 말을 두고 정치인들은 곧잘 "루비콘 강을 건넜다"는 표현을 인용하곤 한다.


나는 이 주사위가 새겨진 연필꽂이를 볼 때마다 내 인생은 주사위의 어떤 면으로 떨어져 있을까 하는 부질없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나 역시 돌이킬 수 없는 실수와 과오를 범하며 수 없이 "루비콘 강을 건너"와 지금 이곳 금가락지에 머물고 있다.


TV보다는 음악을 즐겨 듣는 나는 각 나라마다 그 나라를 상징하는 민속음악 따위의 CD음반을 한 개씩 사오곤 하는데, 이 음반들은 내가 타고 다니는 승용차나 낡은 전축의 음반꽂이에 꽂혀 있다. 그리고 수시로 그 CD들을 틀며 오래된 여행지를 추억하곤 한다.


또한 헐값으로 사온 티셔츠도 오래되어 헤질대로 헤졌지만 철따라 즐겨 입는다. 심지어는 20년도 넘은 티셔츠를 나는 지금도 입고 있다. 거의 다 헤질 지경이라 아내는 버리라고 몇 번이나 스레기 통에 집어 넣곤 한 것을 나는 다시 꺼내서 소중히 보관하며 철따라 입곤한다.

 

나는 또 스위스를 여행하며 스위스 아미나이프 두 개를 샀는데 두 개를 다 잊어버렸다. 하나는 멕시코를 여행하다가 기내 휴대용 배낭에 넣고 비행기를 타다가 압수를 당하고 말았다. 그 때 그 칼이 얼마나 아깝던지그러나 그것은 내가 수하물용 여행가방에 넣지않는 실수를 범한 것이니 어쩔 수가 없는 일이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작년에 잃어버렸는데, 도대체 어디서 잊어버렸는지 통 기억이 나질 않는다. 여행 중에 어딘가에 놓고 와 버린 것인지, 아니면 이사를 하면서 짐 깊숙이 들어가 있는지 통 찾을 수가 없다. 아미칼을은 내가 아주 요긴하게 썼던 물건이다. 아내는 집안 어디엔가 있는 것을 본적이 있다고 하는데,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기억을 해내지 못하고 있다.  

 

스위스 아미나이프는 다목적 휴대용 칼로, 손잡이, 절단 칼날, 스크루드라이버, 캔 따개, 펀치, 코르크 스크루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여행을 다닐 때 매우 요긴하게 사용을 할 수 있다. 이 칼은 1891년 스위스 수술도구 제조회사 사장이었던 스위스인 카를 엘스너(1860~1918)가 제조한 휴대용 칼로, 흔히 군인들이 사용을 많이 한다고 하여 군인의 칼이라고 불렀다. 엘스너는 다른 제조회사의 칼과 차별화를 하기 위해 자신의 공장에서 생산되는 스위 아미 나이프에 모두 십자가가 그려진 스위스 깃발을 심벌로 새겨 넣었다.

 

그 많은 도구들도 접어넣으면 93mm 이내의 칼집으로 모조리 게눈감추듯 들어가고 만다. 2006년에는 85개 도구가 포함된 100주년 기념 특별 나이프가 수집자용 작품(컬레터 피스)로 판매되기도 했다


이렇게 편리한 칼을 20년 동안이나 잃어버리지 않고 줄기차게 사용을 해오다가 잃허버리자 나는 심한 우울감에 빠지고 말았다. 나는 내가 애용해온던 소지품을 잃어버리면 마치 나의 신체 일부를 잃어버린 것처럼 심한 우울감에 빠지고 만다. 실은 이미 루비콘 강을 건너간 내 소지품들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데도 쓸데 없는 나의 집착이 가져온 번뇌다. 이런 번뇌는 우매한 내 중생살이가 끝나는 금생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지가위는 이곳 연천 금가락지에 정착을 하고나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물건이다. 일반 가위와는 달리 작은 지렛대가 장착이 되어 있어 투터운 나무가지나 풀을 자르는데는 아주 유용한 도구이다. 그래서인지 무척 애착이 가는 가위다. 나는 텃밭에서 일을 하거나 정원에서 가든닝을 할 때도 언제나 전지가위를 허리에 차고 다닌다.

 

나는 텃밭에 풀을 뽑지 않고 낫으로 베거나 혹은 예초기를 사용하여 베내기도 하는데, 때로는 전지가위를 사용해서 베기도 한다. 전지가위는 작물 사이에 있는 풀의 목을 톡톡 잘라내는 데 아주 편리하다.

 

작물 사이에 있는 잡초는낫을 쓰기도 쉽지가 않다. 더구나 뽑아내다가는 여린 작물이 뿌리채 뽑혀버리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지 가위를 사용하면 작물 위에 솟아나온 잡초의 머리를 자르기에도 좋고, 작물 사이에 전지가위를 넣어서 잘라내기도 아주 편리하다.

 

그렇게 매일 자주 사용하는 전지가위를 잃어버렸으니 얼마나 허탈한가! 나는 오늘도 텃밭과 정원을 손질하며 전지가위가 어디선가 곧 나올 것만 같은 착각에 빠지곤 한다. 내게 커다란 자석이 있다면 이를 전지가위 탐지기처럼 들고다니면 찾을 수 있을 텐데... 아마 깊은 풀더미 속이나, 도랑에 깊숙히 빠져 발견을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나는 정원의 풀을 베다가 오래되어 녹이 쓴 망치와 칼, 호미를 발견한 적도 있다. 전지가위가 녹이 슬어 망가지기 전에 발견하면 얼마나 좋을까? 

 

 

 

결국 전지가위를 찾지 못한 나는 마트에 가서 전지가위를 새로 구입을 했다. 새로 구입한 전지가위를 잃어버리지 말고 잘 사용해야 할텐데 글쎄, 건망증이 많은 내가 언제까지 간수하며 쓸 수 있을 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