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텃밭일기

잡초밭을 호미로 파서 모를 심다니...

찰라777 2013. 6. 30. 09:09

 

 

 

 


지난 27일,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백석리에 소재한 <해땅물자연농장>에서는 오전 8시부터 모내기를 하기 시작했다. 다른 관행농법에서는 이미 지난 5월에 모내기를 끝내고 벼가 파랗게 자라나고 있는데, 이 농장에서는 7월이 다가오는 뒤늦은 시기에 모내기를 하고 있다.

 

그것도 잡초가 무성하게 자란 논밭에 못줄을 띄우고 호미로 1,700여 평의 땅을 파서 모를 심다니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이해가 잘 가지 않은 농사법이다. 10년 째 자연농사를 짓고 있는 농장주인 홍 씨를 논에서 만났다.

 

"이렇게 늦게 모내기를 해도 수확을 하는 데는 지장이 없을까요?"

 

"네, 이 볍씨는 조생에 가까운 고시히까리란 종자이므로 산간지역에 적합하고 성장이 빠릅니다. 그런데다가 노지 모판에서 47일간 성장을 했으므로 모가 매우 튼튼합니다. 지난 2년간 재배를 해보니 10월 중순 경에 수확을 하는데 지장이 없었습니다.매우 "

 

"이런 모내기를 하는 것은 어떤 잇점이 있습니까?"

 

""첫째 늦은 모내기는 이모작을 시도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작년에 밀 재배에 이어 올해 처음으로 보리와 벼의 이모작을 시험해보고 있습니다. 아직 성공을 하지는 못했지만 계속 시도를 해 볼 생각입니다. 통상 충청이북지역에서는 이모작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왔지만, 기간 상으로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토양의 비옥도, 건습의 문제로 다소 변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계속 시험 중에 있습니다.

 

두 번째는 6월 하순에 모내기를 하면 그때까지는 밭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논에 피 등 잡초가 생기기 어려워, 별다른 제초가 필요 없는 편리한 점이 있습니다. 또한 물못자리에 비해 마른못자리에서 자라났기 때문에 모가 웃자라지 않아 뿌리가 매우 튼튼합니다. 따라서 논에서 자라는 성장기간이 짧아 병충해 방지 등 어린 모가 논에서 자라나는 동안 여러 가지 피해를 줄일 수 있어 관리상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세 번째는 이양기로 하는 빽빽한 모내기에 비해 손으로 하는 모내기는 드믄 드믄 파종을 하고, 5포기 이내의 적은 모내기로 모를 튼튼하게 키울 수 있다는 잇점이 있습니다."

 

 

 

 

홍 씨는 동네 아주머니 8분을 품삯을 들여 모셔왔다. 아주머니들은 호미질을 잘하시는 분들이라고 한다. 홍 씨는 모판에서 모를 바쁘게 뽑아 날랐다. 논에 못줄을 띄우고 아주머니 8분이 나란히 앉아 호미로 잡초 밭을 파서 4~6개의 모를 찢어서 심었다.

 

"자, 모줄 띄웁니다."

"못줄을 팽팽하게 잡아당겨서 위아래로 흔드세요. 그래야 모를 반듯하게 심을 수 있습니다."

 

옛날 우리 조상들이 모내기를 하는 모습 그대로였다. 못줄은 양쪽에 막대기에 연결을 해서 팽팽하게 유지한 다음 줄을 50cm 간격으로 띄웠다. 모쟁이 역할을 하는 것은 생각보다 무척 바빴다. 모가 부족하지 않도록 신속히 배달을 해주어야 한다.

 

"여기 모 좀 가져오세요. 모쟁이가 너무 느리네."

"예예 갑니다. 조금만 기다리세요."

"모쟁이 하기가 쉬운 게 아니어요. 발 빠르고 눈치 빠른 사람이 모쟁이를 하지요. 그렇게 느려서야 모쟁이 자격 미달인데."

"하하, 그래요. 그럼 뛰어 다녀야겠네요? 모쟁이 하는 것이 이렇게 어려운 줄 몰랐어요."

"그래서 옛날부터 모쟁이를 하기 싫으면 심은 모를 막 밟으라고 했답니다. 그러면 논 주인이 모쟁이를 절대로 시키지 안했대요. 모쟁이 하기 싫으면 모를 밟아버리세요. 호호호. '

 

 

 


아주머니들은 우스갯소리를 하며 모쟁이를 놀려 댔다. 참으로 오랜만에 보는 전통적인 모내기다. 모를 심는 모습이 정말 진풍경이었다. 못줄을 띄우고, 모를 나르고, 호미로 모를 심다니… 먼 원시시대 과거로 회귀한 느낌이 든다.

 

옛날 우리 조상들은 이렇게 원시적인 방법으로 모를 심었다. 어쩐지 정겹고 마음이 흐뭇해진다. 우리 조상들은 이렇게 품앗이를 하여 서로 돕고 살았다. 이것이 바로 이웃을 서로 돕고 살아가는 마을 공동체다.

 

그러나 지금은 마을 공동체의 흔적을 찾아 볼 수가 없다. 농촌에 일손이 없기도 하지만 모든 것을 트랙터나 이양기 등 기계가 대체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름 냄새를 풍기며 논밭에서 요란한 소음을 내는 농기계를 바라보노라면 어쩐지 삭막한 느낌이 든다.

 

 

 

 

10시경이 되자 홍 선생님 사모님 술참거리를 자지고 왔다. 아주머니들은 일손을 멈추고 옹기종기 모여 앉아 오손도손 정담을 나누며 빵과 우유로 간식을 먹었다. 옛날에는 막걸리와 찬거리를 가져와 술참을 논두렁에 앉아 술참을 먹곤 했다.

 

그 옛날 정겨운 풍경을 다시 보는 것 같아 마음이 흐뭇해진다. 우리 조상들은 술참을 먹으면서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모내기 일정을 정하고 서로 품앗이를 해왔다. 그 시절 농부들은 외롭지 않았다. 이웃 간에 언제나 대화가 끊이지 않았고, 정이 흘러 넘쳤다.

 

오전 중에 맨 위에 있는 논부터 시작하여 모내기는 두 번째 논가지 계속되었다. 12시가 되자 홍 선생님이 점심거리를 차로 싣고 왔다.

 

"자, 모내기를 중단하시고 점심들 드세요, 모두들 원두막으로 오세요."

 

 

 

 

아주머니들이 호미를 놓고 모두 원두막으로 모여 들었다. 홍 씨 부인이 주걱으로 밥을 퍼서 양재기에 담아 아주머니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반찬을 가운데 놓고 함께 밥을 먹으니 밥맛이 꿀맛이다. 땀 흘려 일을 하고 시원한 원두막에 앉아 점심을 먹는 밥이다. 시장이 반찬이라고 했지 않았던가?

 

"밥 많이 드세요. 농부는 밥심으로 일을 하는 거여."

"예예. 밥맛이 꿀맛이네요."

 

함께 빙 둘러 앉아 밥을 먹으니 밥맛이 저절로 났다. 모두가 양재기에 가득 담은 밥을 한 그릇 거뜬히 다 비웠다.

 

"밥을 먹었으니 한 숨 자야 하는데."

"네, 한 숨 주무셔야지요."

"남자들은 자리를 좀 빗겨 주세요."

"그럼 우린 저 그늘로 가서 좀 쉴게요."

 

 

 

밥상을 치우고 아주머니들이 원두막 바닥에 한분 두 분 벌렁 자빠지며 눕기 시작했다. 밥을 먹고 나면 휴식이 필요한 것이다. 옛날 우리 마을에서는 논에 가까이 있는 동네 움막에서 점심을 먹은 후 잠시 눈을 붙이곤 했다. 아주머니들이 원두막에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참으로 정겹게 보였다. 모든 봉오리에는 휴식이 잇는 법이다. 식물이든 동물이든 사람이든 휴식은 필요하다.

 

아주머니들은 한식경 정도 휴식을 취한 후 다시 모내기를 시작했다. 해가 떨어질 때까지 모내기는 계속되었다. 그러나 맨 아래 논까지 다 마치지는 못했다. 남은 논은 내일 다시 심어야 할 것 같다.

 

해는 뜨겁고 땅은 잡초로 덮여있다. 대지를 덮은 잡초들이 벼에게 좋은 거름이 된다고 한다. 지금까지 벼들이 모판에서 촘촘히 붙어서 자라느라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 답답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모내기를 하여 듬성듬성 심어 놓았으니 바람도 잘 통하고 시원하게 제 집을 찾은 벼들이 무척 여유롭게 보인다.